뇌물죄는 공무원의 직무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과 함께 금품이나 이익을 수수·공여·알선하는 범죄로, 국가의 청렴한 행정 운영과 공직자의 직무 공정성을 보호하는 중요한 법적 규범입니다.
최근 들어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시행과 함께 뇌물죄에 대한 처벌이 더욱 엄격해지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본 칼럼에서는 뇌물죄의 전반적인 내용과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겠습니다.
뇌물죄는 공무원의 직무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과 함께 금품이나 이익을 수수·공여·알선하는 범죄로, 국가의 청렴한 행정 운영과 공직자의 직무 공정성을 보호하는 중요한 법적 규범입니다.
최근 들어 부정청탁 및 금품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시행과 함께 뇌물죄에 대한 처벌이 더욱 엄격해지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본 칼럼에서는 뇌물죄의 전반적인 내용과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겠습니다.
뇌물죄는 형법 제129조부터 제133조까지 규정되어 있으며, 공무원의 직무 공정성과 국가 행정의 청렴성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국가의 청렴한 행정과 공무원의 직무 공정성을 보호하며, 국민의 공무원에 대한 신뢰를 유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뇌물이란 공무원의 직무에 관하여 그 공정을 해할 염려가 있는 불정한 이익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금전뿐만 아니라 물품, 향응, 편의제공, 취업제공, 부채 면제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이익이 포함됩니다.
공무원이 그 직무에 관하여 뇌물을 수수하거나 그 요구 또는 약속을 한 경우에 성립합니다.
공무원이 될 자가 그 담당할 직무에 관하여 청탁을 받고 뇌물을 수수한 경우입니다.
예) 공무원 임용 예정자가 미리 청탁을 받고 금품을 수수하는 경우
공무원이 그 직무에 관하여 청탁을 받고 제3자로 하여금 뇌물을 수수하게 한 경우입니다.
예) 공무원이 청탁을 받고 가족이나 지인 명의로 금품을 받게 하는 경우
공무원에게 뇌물을 공여하거나 그 신청 또는 약속을 한 경우에 성립합니다.
공무원에 대한 뇌물공여를 알선하고 그 대가를 받거나 받기로 약속한 경우입니다.
알선 대가가 1천만원 이상인 경우 가중처벌됩니다.
범죄 유형 | 법정형 | 몰수·추징 |
---|---|---|
뇌물수수죄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 필요적 몰수·추징 |
사전수수죄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년 이하의 자격정지 | 필요적 몰수·추징 |
제3자뇌물수수죄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 필요적 몰수·추징 |
뇌물공여죄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 필요적 몰수·추징 |
뇌물알선죄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7년 이하의 자격정지 | 필요적 몰수·추징 |
뇌물죄는 추상적 위험범으로서 실제 직무행위가 없어도 뇌물을 받으면 기수가 됩니다. 또한 뇌물 및 그 이익은 필요적으로 몰수·추징되므로 경제적 이득을 완전히 박탈당하게 됩니다.
뇌물죄는 공직자의 경우 당연퇴직 사유가 되므로, 직업 생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무죄나 집행유예 확보가 매우 중요합니다.
뇌물죄는 공직 사회의 신뢰를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범죄로서, 법원에서도 엄중하게 처벌하고 있습니다. 특히 공직자의 경우 유죄 확정시 당연퇴직되므로 생계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됩니다.
뇌물죄 혐의를 받으시는 분들은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초기부터 체계적인 변호 전략을 수립하여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법무법인 대건은 풍부한 뇌물 사건 처리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A. 개인적 친분관계라도 공무원의 직무와 관련하여 부정한 청탁과 함께 제공된 금품이라면 뇌물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직무관련성과 대가관계입니다.
A. 네, 뇌물죄는 추상적 위험범이므로 실제로 청탁받은 일을 처리하지 않아도 뇌물만 받으면 기수가 됩니다.
A. 공무원이 청탁을 받고 가족 등 제3자로 하여금 뇌물을 받게 한 경우, 제3자뇌물수수죄가 성립합니다.
A. 일반적인 뇌물죄는 7년의 공소시효가 적용되며,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10년입니다.